본문 바로가기
영어 서재

헷갈리는 영어 단어 정리! affect vs. effect, lie vs. lay 등 완벽 정리!

by Peaceful Cherry 2025. 2. 21.
반응형

영어를 쓰다 보면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습니다. affecteffect, lielay처럼 의미가 비슷하거나 품사가 달라서 헷갈리는 경우가 대표적이죠. 하지만 핵심 개념과 몇 가지 팁만 익히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. 영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5쌍을 정리하고, 정확한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
Affect vs. Effect - 영향을 주다 vs. 영향

📌 설명

  • affect: 동사(verb), "영향을 주다, 작용하다"
    > 어떤 것이 다른 것에 변화를 주거나 영향을 미칠 때 사용
  • effect: 명사(noun), "영향, 결과, 효과"
    >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만들어낸 결과를 의미

💬 예문

  • The weather affects my mood. (날씨는 내 기분에 영향을 준다.)
  • The new law had a big effect on the economy. (새 법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.)

⭐️

  • Affect는 행동(동사)이므로 A(행동), Effect는 결과(명사)이므로 E(결과)라고 기억하면 쉽습니다.
  • "The new policy affects employees." (정책이 직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) 이 문장처럼 affect는 주로 주어와 함께 동사 역할을 하고, "The new plocy has a positive effect." (정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) 이 문장처럼 effect는 명사로 쓰인다는 점을 기억하세요.

 

Lie vs. Lay - 눕다 vs. 눕히다

📌 설명

  • lie: 동사(verb), "눕다" (자동사로 목적어가 필요 없음)
    > 스스로 누울 때 사용
  • lay: 동사(verb), "눕히다, 내려놓다" (타동사로 목적어가 필요함)
    > 무언가를 눕히거나 놓을 때 사용

💬 예문

  • I need to lie down for a moment. (잠깐 누워야겠어.)
  • She laid the baby in the crib. (그녀는 아기를 요람에 눕혔다.)

⭐️

  • Lie는 스스로 눕는 것, Lay는 무언가를 눕히는 것이라고 기억하세요.
  • Lie의 과거형은 Lay, Lay의 과거형은 Laid입니다.
    - Yesterday, I lay on the bed. (어제 나는 침대에 누웠다.)
    - She laid the book on the table. (그녀는 책을 테이블 위에 놓았다.)
  • 현재형: Lie (눕다) / Lay (눕히다)
  • 과거형: Lay (누웠다) / Laid (눕혔다)

 

Rise vs. Raise - 오르다 vs. 올리다

📌 설명

  • rise: 동사(verb), "오르다, 상승하다" (자동사로 목적어가 필요 없음)
    > 스스로 올라갈 때 사용
  • raise: 동사(verb), "올리다, 증가시키다" (타동사로 목적어가 필요함)
    > 누군가가 무엇을 올릴 때 사용

💬 예문

  • The sun rises in the east. (태양은 동쪽에서 뜬다.)
  • They raised the flag during the ceremony. (그들은 행사에서 깃발을 올렸다.)

⭐️

  • Rise는 스스로 오르는 것, Raise는 누군가가 올리는 것입니다.
  • Rise의 과거형은 Rose, Raise의 과거형은 Raised입니다.
    - The temperature rose suddenly. (온도가 갑자기 올랐다.)
    - The company raised salaries this year. (회사는 올해 급여를 인상했다.)
    이처럼, Raise는 반드시 목적어(올리는 대상)가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면 구분이 쉽습니다.

 

Borrow vs. Lend - 빌리다 vs. 빌려주다

📌 설명

  • borrow: 동사(verb), "빌리다" (내가 다른 사람에게 받는 것)
    > 돈, 책, 물건 등을 일정 기간 동안 빌릴 때 사용
  • lend: 동사(verb), "빌려주다" (내가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)
    > 내가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빌려줄 때 사용

💬 예문

  • Can I borrow your pen? (너의 펜을 빌려도 될까?)
  • I lent him some money. (나는 그에게 돈을 빌려줬다.)

⭐️

  • Borrow는 내가 받는 것, Lend는 내가 주는 것입니다.
  • 쉽게 기억하는 방법은 Borrow는 B(받는다), Lend는 L(내가 주는 것)이라고 기억하는 것입니다.

 

Principle vs. Principal - 원칙 vs. 교장/주요한

📌 설명

  • principle: 명사(noun), "원칙, 신념"
    > 도덕적, 윤리적 기준이나 법칙을 의미
  • principal: 명사(noun), "교장" / 형용사(adjective), "주요한"
    > 학교의 교장이나 금융의 원금(principal amount)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되며, 형용사로는 "가장 중요한"이란 의미

💬 예문

  • Honesty is an important principle in life. (정직은 삶에서 중요한 원칙이다.)
  • The principal of the school gave a speech. (학교 교장 선생님이 연설을 하셨다.)
  • The principal reason for my decision was financial. (내 결정의 주요한 이유는 재정적인 것이었다.)

⭐️

  • Principal은 주요한(main)이란 뜻이 있어서 교장(학교에서 중요한 사람)과 연관 지어 기억하면 좋습니다.
반응형